차단기는 부하전류를 개폐함과 동시에 단락 및 지락사고 발생 시 각종 계전기와의 조합으로 신속히 전로를 차단하여 기기 및 전선을 보호하는 장치이며 고압 차단기와 저압 차단기로 분류할 수 있다.
1. 고압 차단기
- 유입차단기 (OCB; Oil Circuit Breaker)
유입차단기는 전로개폐 시 발생되는 arc를 절연유의 소호작용에 의하여 arc를 소호하는 구조이다.
-. 장점 : 가격이 저렴하고 취급이 간단하다.
-. 단점 :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고, 설치 면적이 크다.
- 진공차단기 (VCB : Vacuum Circuit Breaker)
전로의 차단을 고진공 용기 내에서 행하는 것으로 고진공 중에서의 높은 절연특성을 이용하는 차단기이다.
진공차단기의 특징은다음과 같다.
-. 차단시간이 짧다. (3~5 cycle)
-. 개폐 수명이 길다. (arc 전압과 arc 에너지가 작아 접점의 소모가 적다).
(부하 개폐 시 수명 : 10,000회 정도, 무부하 개폐 시 수명 (기계적) : 6,000회 정도)
-. 차단성능이 우수하다.
-. 소형 경량이다. (큐비클 내 다단적재 가능)
-. 안정성이 높아 방재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빌딩, 화학공장, 선박, 지하철 등).
-. 보수, 점검이 용이하다.
- 공기차단기 (ABB. ABCB : Air Blast Circuit Breaker)
차단기 개방 시 발생되는 arc를 압축된 공기, 10 ~ 30 kg/cm^2로 차단기 주접점에 불어넣어 소호하는 방식이다.
-. 장점 : 유입차단기에 비해 화재의 위험이 적고 차단능력이 우수하며 유지보수가 간단하다.
-. 단점 : 압축공기 등의 부대설비가 필요하다.
- 가스차단기 (SF6 Gas Circuit Breaker)
SF6(육불화황)의 불활성 가스를 이용한 차단기로, 전로의 개폐에서 차단기 개방시 발생되는 arc를 SF6 가스를 불어넣어 소호하는 방식이다.
-. 차단성능이 우수하며 소음이 작다.
-. 불활성, 비연소성으로 화재의 위험이 적다.
-. 가격이 고가이며 설치시 면적이 작다. 따라서 초고압계통에서 주로 사용한다.
2. 저압 차단기
- 기중차단기 (ACB : Air Circuit Breaker)
기중차단기는 대기의 공기 내에서 회로를 차단할 때 접촉자가 떨어지면서 공기의 자연소호방식에 의한 차단기로 교류 600V 이하의 저압이나 직류차단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배선용 차단기 (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배선용 차단기란 교류 600V 이하, 직류 250V 이하의 저압 옥내 전로의 보호를 위하여 사용하며 개폐기구, 트립 장치 등을 절연물의 용기 내에 조립한 것으로 통전상태의 전로를 수동 또는 전기 조작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고 과부하, 단락사고 시 자동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기구이다.
-. 특징
ㄱ. 과부하 및 단락사고 차단 후 재투입이 가능하다.
ㄴ. 개폐기구 및 트립 장치 등이 절연물인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어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다.
ㄷ. 각 극을 동시에 차단하므로 결상의 우려가 없다.
ㄹ. 전기조작, 전기신호 등의 부속장치를 사용하여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 필요성
ㄱ. 저압 옥내 전로에서는 인입구 가까운 곳에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에 개패기를 시설할 것
ㄴ. 저압 옥내 간선의 전원측 전로에는 그 저압 옥내 간선을 보호하는 차단기를 시설할 것
ㄷ. 저압 옥내 간선과의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3m 이하인 곳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할 것
출처 : 전력사용시설물 설비설계 - 성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