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Management Console을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제대로 설치되었다면) Servers에 설치된 PC 명이 나타납니다.

Server 연결이 제대로 된 상태

좌측 아이콘 중에서 Sites를 클릭하면 미터 연결을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창입니다.

Sites 화면

우측 작업창에서 우클릭을 하면 New가 나타나고 4가지의 선택사항이 나타납니다.

Direct Site

Direct Site는 미터를 Serial로 직접 PC에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Name : Direct로 연결되는 미터 그룹의 명칭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전기실 1번의 전력미터 10개가 Daisy Chain 형식으로 RS-485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10개 미터를 통칭할 수 있는 명칭을 기입합니다. 아니면 PC에 직접 연결되는 Converter나 Port 명칭으로 구분하여도 됩니다. (제 생각엔 전자를 택하는 것이 나중에 이해하기가 더 쉬울수 있습니다.)

Serial Port : PC에 설치된 Serial Port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보통 COM 1 ~~~~)

장치 관리자에서 포트 (COM & LPT)에 표시된 통신 포트를 보고 해당하는 통신 포트를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 PC에 별도로 주문하지 않는 이상 Serial 포트가 없어서 아래 그림과 같은 제품을 장착하여 사용합니다.

Baud Rate : 통신 속도를 설정합니다. 일반적으로 19200 이나 38400을 선택하지만 통신선의 길이나 통신데이터량에 따라 속도는 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

Enabled : 해당 설정을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Time Sync XXXXX Enabled : 시간 동기화 관련 부분이며 Schneider Electric의 Meter 중에서도 지원되는 Meter만 가능하므로 3rd party 미터를 사용한다면 No를 선택하면 됩니다.

Description : 해당 Site에 대한 설명을 기입하는 것으로 꼭 기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RTs CTs : 데이터의 전송 (Request to Send) 및 전송 확인 (Clear to Send)을 위한 Hardware Handshaking을 활성화/비활성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Use DTR : Data Terminal Ready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Name 과 Serial Port 및 Baud Rate를 명확하게 기입하여야 합니다. Baud Rate는 미터에서 설정된 Baud Rate와 동일하여야 합니다.

 

 

728x90

'밥벌이 > 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E] Site 및 Device 명칭 제한  (0) 2021.12.21
[PME] Management Console - 기본 설명  (0) 2021.12.20
[PME] 설치 시 오류  (0) 2021.12.20
728x90

Site 및 Device 그룹, Device 명칭은 아래의 조건에 충족해야 합니다.

  • 이름에 공백이 있거나 다음 문자가 포함되어서는 안됩니다. ( \ / : * ? " < > { } . , ' & @ | % # )
  • Group.Device 이름의 최대 글자수는 99자 입니다. (마침표로 구분하는 경우 +1)
  • Site 나 Device 명칭으로 CON, AUX, COM1, LPT1 와 같은 것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모든 문자는 Windows 코드 페이지에 있는 것으로 사용하세요. 예를 들어 영문 Windows에서 영문이 아닌 다른 문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728x90

'밥벌이 > 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E] Sites 추가 - Direct Site  (0) 2022.01.20
[PME] Management Console - 기본 설명  (0) 2021.12.20
[PME] 설치 시 오류  (0) 2021.12.20
728x90

PME 2021를 설치하면 Schneider Electric 폴더 내에 12개의 아이콘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중에 Management Consol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nagemenet Console은 쉽게 말하면 PME 에너지 관리시스템과 통신으로 연결을 할 수 있는 전력 미터나 유량계, PLC 등을 추가/삭제를 담당합니다. 다양한 유형의 장치와 통신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Ethernet 또는 Serial Link)

Management Console

좌측의 아이콘을 하나씩 확인하면 

Servers 는 쉽게 말하면 PME가 설치된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PME가 정상적으로 설치되고 Management Console을 실행하면 Servers는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Site는 통신 링크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장치 그룹을 의미합니다. 추가 시 Direct Site, Modem Site, Ethernet Gateway Site, OPC Site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Direct Site는 컴퓨터와 Serial 통신을 직접 하는 경우로 RS-232 또는 RS-485 (Daisy-Chain 연결 시 최대 32대까지 연결)를 사용하고 데이터의 실시간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미터의 수량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통신선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제 기준으로는 10대 이상 연결은 비추합니다.)

Modem Site는 Server측 모뎀과 원격지 모뎀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면 Server 측 모뎀 - KT 망 - 원격지 모뎀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광역 현장이 아닌 경우에는 거의 사용될 일이 없습니다. 저도 이 방식은 SPO에서 한번 적용해봤습니다.

Ethernet Gateway Site는 미터가 Ethernet을 지원하거나 RS-485 연결을 서버와 직접 연결하지 않고 Ethernet 타입의 Gateway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OPC Site는 OPC Client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미터나 PLC 등이 OPC 통신을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아닙니다.

Device는 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미터나 다른 설비입니다.

Serial Device는 Direct Site, Modem Site, Ethernet Gateway Site에 설정할 수 있으며 모뎀, RS-232 또는 RS-485 그리고 Ethernet Gateway를 통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

Ethernet Device는 Ethernet을 통해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된 장치로 Management Console을 통해 수동으로 연결 및 차단을 할 수 있습니다.

Logical Device 는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낸 가상의 장치이다.

OPC Device 는 Server와 OPC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는 미터나 설비입니다.

Dial Out Modems 는 서버가 Modem Site에서 원격지 모뎀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모뎀입니다. 주로 하드웨어 기반의 모뎀 또는 서버의 프로세스를 이용한 하드웨어 기반 모뎀을 에뮬레이트 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모뎀입니다. Modem Site에서 통신을 설정할 때 Modem Site에 구성된 목록에서 선택을 할 수 있고 모뎀 목록에는 하드웨어 모뎀이나 WinModem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Connection schedules 은 Server가 Site 및 Ethernet 장치에 정기적으로 연결 및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된 루틴이다.

System Log Event 는 네트워크에 대한 이벤트를 나열합니다. 이벤트를 기간 및 구성 요소에 따라 볼 수 있습니다.

 

 

 

728x90

'밥벌이 > 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E] Sites 추가 - Direct Site  (0) 2022.01.20
[PME] Site 및 Device 명칭 제한  (0) 2021.12.21
[PME] 설치 시 오류  (0) 2021.12.20
728x90

밥벌이를 하다 보니 Schneider Electric 社의 Power Monitoring Expert (이하 PME)라는 EMS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설치할 때마다 아래 사진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여 설치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PME 설치할 때 뿐만 아니라 SCADA 프로그램인 Power Scada Operation (이하 PSO)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PME 설치하기 전에 가능한 Windows Update 등 최신 상태를 유지하고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이유는 설치하시다 보면 다들 아실 듯..ㅎㅎㅎ )

 

PME 설치시 오류 사항

위의 경고 팝업창처럼 재부팅을 하면 안됩니다. 재부팅해도 똑같은 경고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위의 문제는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통해 몇가지를 삭제해 주시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됩니다.

1. 64bits System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Component Based Servicing\RebootPending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WindowsUpdate\Auto Update

2. 32bits System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Component Based Servicing\RebootPending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WindowsUpdate\Auto Update

3. 공통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 내의  'PendingFileRenameOperations" 항목이 있다면 과감히 삭제하시고 설치 파일을 재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됩니다.

 

728x90

'밥벌이 > 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E] Sites 추가 - Direct Site  (0) 2022.01.20
[PME] Site 및 Device 명칭 제한  (0) 2021.12.21
[PME] Management Console - 기본 설명  (0) 2021.12.20

+ Recent posts